no such device Entering rescue mode 에러 해결(GRUB 재설치)
boot-repair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no such device 에러를 해결하고, 개인 패키지 저장소의 의미와 저장소를 설치 삭제하는 명령어를 알아봅시다.
boot-repair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no such device 에러를 해결하고, 개인 패키지 저장소의 의미와 저장소를 설치 삭제하는 명령어를 알아봅시다.
scp 명령을 사용하여 원격 컴퓨터에 파일을 복사하거나 원격 컴퓨터의 파일을 복사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SSH 서버를 설치하고 설정 파일을 알아보고 패스워드 인증, 공개키 인증 방식으로 서버에 접속해봅시다.
우분투의 방화벽 설정 도구인 UFW를 사용하는 여러가지 방법을 알아봅시다. enable, disable, reset, allow, deny, delete, status
우분투 리눅스에서 텔넷 서버를 설치하고 xinetd.conf 파일을 수정해 텔넷을 활성화해봅시다.
윈도의 원격 데스크톱 연결 방법을 알아보고 사설 IP를 가진 컴퓨터도 연결하기 위해 포트 포워딩을 사용해봅시다.
홈 그룹이나 네트워크 폴더에서 다른 컴퓨터를 찾을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정집을 예로 들어 차근차근 네트워크 연결 구성을 알아봅시다.
GCC로 C 소스 코드를 빌드하면 전처리, 컴파일, 어셈블리, 링킹과정을 거치며 각각 출력 파일이 존재한다는 것과 gcc는 c컴파일러가 아니며 빌드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명령어라는 것을 알아봅시다.
우분투의 기본 편집기를 vim이나 gedit으로 바꿔봅시다.
상수를 가리키는 포인터, 상수 포인터가 변수나 상수를 가리킬 때 어떤 특징을 가지는지 알아봅시다.
C언어 포인터 변수의 선언 방법, 포인터 변수의 값과 크기, 주소 연산자와의 관계를 알아봅시다.
우분투 리눅스의 root 계정, 관리자 계정, sudo 명령, 계정 권한 등에 대해 알아봅시다.
우분투에서 이클립스의 Content Assist(Ctrl+Space), Copy Lines(Ctrl+Alt+Up, Down) 단축키가 작동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해 봅시다.
MariaDB 사이트에서 최신 버전 설치 방법을 알아내 봅시다.
GRUB의 대기 시간을 바꾸거나 무한대로 만들고, 기본 부팅 순서를 바꾸거나 마지막에 사용한 운영체제로 만들어봅시다.
윈도환경에서 XAMPP로 워드프레스 전체를 백업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PhpMyAdmin 사용자 추가. 디렉토리를 읽지 못했습니다 오류 해결. DB 내보내기, 가져오기. 백업 후 사이트 주소 변경.
wordpress 상단 toolbar를 테마 함수(functions.php)에 코드를 추가하여 감춰봅시다.
윈도와 리눅스를 모두 사용할 때 윈도의 시간이 맞지 않는 문제를 리눅스가 UTC(협정 세계시) 대신 local time(현지 시각)을 사용하게 해 해결해 봅시다.
우분투에서 화면 멈춤 문제의 원인을 알아보고 해결법과 커널 삭제 방법을 알아봅시다.
ZSH과 Oh My ZSH!을 설치하고 agnoster 테마로 변경하고 깨지지 않는 폰트를 설치해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