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such device Entering rescue mode 에러 해결(GRUB 재설치)

Windows 10과 Ubuntu Linux를 쓰던 어느 날.

Windows를 다시 깐다거나 한 적도 없는데 갑자기 이런 화면이 절 반기는군요.

error: no such device:
Entering rescue mode...
grub rescue>

껐다 켜기만 하면 원래대로 grub2가 떴지만, 정상 종료 후엔 다시 no such device 오류가 떴습니다.

즉 컴퓨터를 하려면 전원을 두 번씩 넣어야 하는 상황이 된 것이죠.

GRUB을 재설치하면 해결되겠지만 처음에는 우분투 부팅 USB 없이 해결해보려 이리저리 고생했지만 실패.

결국, 부팅 USB로 ‘Ubuntu 체험하기’를 눌러 USB 우분투의 터미널에서 아래 작업으로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요약하면 boot-repair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실행한 것이 전부입니다.

사이트는 https://launchpad.net/~yannubuntu/+archive/ubuntu/boot-repair입니다.

  • boot-repair가 있는 개인 패키지 저장소(PPA)를 추가해주세요. 위 사이트에 나와 있습니다.
sudo apt-add-repository ppa:yannubuntu/boot-repair
  • 최신 버전 패키지를 내려받을 수 있도록 업데이트하세요.
sudo apt-get update
  • boot-repair를 내려받으세요.
sudo apt-get install boot-repair
  • boot-repair를 실행하세요.
sudo boot-repair
  • 창이 뜬 후 추천 복구 방식(Recommended repair) 클릭 한 번이면 끝!

그 전에 저처럼 SSD(또는 HDD) 2개에 Windows와 Ubuntu를 설치하신 분이라면 sdb(두 번째 저장장치)는 이동식 디스크입니까? 라는 물음이 뜨는데 당연히 Yes를 누르면 됩니다.

추가로 개인 패키지 저장소(Personal Package Archive, PPA)란 이름 그대로 우분투의 공식 패키지 저장소가 아닌 패키지 저장소입니다.

공식 패키지 저장소에 없는 프로그램을 받을 때, 혹은 공식 저장소에 있지만 더 최신의 것을 받고 싶을 때 apt-add-repository 명령으로 저장소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패키지는 ‘purge 패키지_이름’ 명령으로 삭제하듯 PPA는 ‘ppa-purge ppa:저장소_이름’ 명령으로 삭제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처음에 부팅 USB 없이 해보려고 했다가 실패했다고 썼는데, 그 실패 중 하나가 부팅 USB 우분투가 아닌 원래 쓰던 우분투에서 이 프로그램을 실행한 것이었습니다.

이유는 잘 알 수 없지만, 프로그램 실행에 문제는 없었음에도 문제가 고쳐지지 않았습니다.

SW Level Up

mail@swlevelup.com

You may also lik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를 발행하지 않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