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 Linux에서 드보락과 두벌식 자판 사용하기

우분투 리눅스를 설치하면서 키보드를 한국어 키보드로 했다면 설치 직후엔 드보락 자판을 사용할 수 없지요.

저는 영문 자판은 드보락을, 한글 자판은 두벌식을 사용합니다.

지금부터 단축키 하나로 드보락과 두벌식을 번갈아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그렇다고 다른 자판을 사용하는 법과 다르지 않으니 본인이 사용하는 자판에 맞게 바꿔주시면 됩니다.

 

‘시스템 설정’의 ‘언어 지원’에 들어갑니다.

처음 들어가면 비밀번호를 치고 다운로드가 진행됩니다.

‘키보드 입력기’가 ‘fcitx’로 되어있지요?

이걸 ‘IBus’로 바꿔주세요.

그리고 꼭! 재부팅을 해야합니다.

그래야 IBus 한글 자판을 사용할 수가 있어요.

재부팅 후 ‘시스템 설정‘의 ‘텍스트 입력창‘에 들어갑니다.

원래 있던 입력 소스는 ‘-‘버튼으로 삭제해 주세요.

그리고  ‘+’ 버튼을 누르면

입력 소스 선택 창이 나타납니다.

영어(드보락)‘을 찾아 추가해 주세요.

한국어 (Hangul) (IBus)‘도 추가해 주세요.

위의 사진엔 이미 추가되어있습니다.

이제 자판을 바꿀 때 쓸 단축키를 ‘다음 소스로 전환‘ 부분에서 원하는 대로 설정해 주세요.

제가 ‘<‘로 쓰고 있는 이유는 노트북 전용의 여분 키가 있는데 그게 저걸로 인식되는 것 뿐입니다.

여기까지 하셨다면 단축키를 누르면 삼색무늬와 ‘En’이 번갈아 나오게 될 겁니다.

 

하지만 두벌식 한글이 아닌 쿼티 영문이 나오는데요.

삼색무늬를 눌러 설정에 들어가세요.

‘한글 모드로 시작’에 체크하고 한영전환키를 마음대로 설정해 주세요.

이 한영전환키는 쿼티와 두벌식을 번갈아 쓸 때 사용합니다.

저는 드보락 사용자이지만 쿼티도 자주 사용하게 되더라고요.

그래서 영문 자판은 두 개를 외우고 있는 이상한(?) 상태입니다.

자 이제 마지막 단계입니다.

재부팅! 해주세요.

재부팅하지 않을 시 한글 모드로 시작 설정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왜 안되지? 끙끙 거리지 마시고 재부팅 해주세요.

SW Level Up

mail@swlevelup.com

You may also lik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를 발행하지 않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