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 telnet server 설치와 활성화
원격에서 리눅스에 접속하기 위해 텔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텔넷 클라이언트는 기본적으로 설치되어있지만, 텔넷 서버는 그렇지 않습니다.
그런데 텔넷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오가는 내용을 암호화되지 않은 텍스트 형태로 전송하는 심각한 보안 결함을 가지고 있어 텔넷 서버를 설치하기만 해선 작동시킬 수 없게 되어있습니다.
따라서 텔넷 서버 설치 후 텔넷 활성화 단계가 필요합니다.
- 텔넷 서버 설치
sudo apt-get install xinetd telnetd
telnetd 처럼 d가 붙은 것은 데몬이란 뜻입니다. 상주 프로세스이며 이것이 텔넷 서버입니다.
xinetd는 telnetd를 동작시키는 수퍼 데몬으로 같이 설치해야 합니다.
- 텔넷 활성화
sudo vim /etc/xinetd.conf
xinetd.conf 파일을 편집기로 열어서 아래 굵은 글씨 부분인 service telnet { … } 내용을 추가해주세요.
# Simple configuration file for xinetd # # Some defaults, and include /etc/xinetd.d/ defaults { # Please note that you need a log_type line to be able to use log_on_success # and log_on_failure. The default is the following : # log_type = SYSLOG daemon info } service telnet { disable = no flags = REUSE socket_type = stream wait = no user = root server = /usr/sbin/in.telnetd log_on_failure = USERID } includedir /etc/xinetd.d
저장한 후 아래 명령으로 xinetd를 restart 시킵니다.
sudo /etc/init.d/xinetd restart
텔넷이 사용하는 포트는 23번이므로 방화벽으로 23번 포트를 열어두었다면 외부에서 텔넷으로 원격 접속이 가능합니다.
또한, telnet 0이나 telnet localhost이나 telnet 127.x.x.x로(x는 숫자) 방화벽에 상관없이 자신에게 텔넷을 시험해볼 수 있습니다.
Telnet 설정창에
disable
flag
socket_type
wait
user가 각각 뭘 의미하는건지 알 수 있나요?
disable : NO이면 텔넷 사용 (텔넷 사용 여부)
flag : 소켓 옵션
socket_type : UDP, TCP 등 소켓의 종류. stream이 TCP, dgram이 UDP
wait : 동시 접속 가능 여부. 즉 inetd가 하나의 서비스 요청을 받고 바로 다른 요청을 받을지 말지 여부. socket_type이 stream이면 반드시 no여야 합니다
user : 텔넷을 쓰는 사용자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