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에서 XAMPP로 워드프레스 백업하기
워드프레스를 직접 통째로 백업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 XAMPP 설치
- FileZilla로 C:\xampp\htdocs에 워드프레스 통째로 복사
- XAMPP의 PhpMyAdmin에서 동일한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 생성
- 데이터베이스 내보내기, 가져오기
- 데이터베이스의 사이트 주소 수정
순서로 진행합니다.
-
XAMPP 설치
XAMPP는 검색하면 쉽게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필요한 Module은 Apach와 MySQL뿐입니다.
제 경우 FileZilla는 따로 받았습니다.
XAMPP Control Panel을 보면 오른쪽 위에 Config가 있습니다.
들어가면 Autostart of modules란 부분이 있습니다.
체크하면 XAMPP 실행 시 자동으로 모듈이 작동하니 편합니다.
작동중이라면 브라우저에서 localhost를 치면 설치 경로가 기본일 경우 C:\xampp\htdocs를 루트로 작동합니다.
-
FileZilla로 C:\xampp\htdocs에 워드프레스 통째로 복사
이미 워드프레스를 운영중이고 사이트를 백업하려는 분이라면 파일질라 사용법은 잘 아실테니 생략합니다.
원래 사이트의 루트폴더(html, www, public_html 등)의 내용을 몽땅 C:\xampp\htdocs에 넣으면 됩니다.
-
XAMPP의 PhpMyAdmin에서 동일한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 생성
여기서 첫 번째 문제가 생기는데요.
XAMPP의 PhpMyAdmin은 기본이 ‘ID : root / Password : 없음’이죠.
따라서 최대한 고치는 것 없이 백업하기 위해선 호스팅 서버의 PhpMyAdmin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사용자 계정을 만들고 같은 이름을 가진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야 합니다.
그런데! 아래처럼 오류가 난다면
SHOW PLUGINS SONAME LIKE ‘%_password_check%’
‘C:\xampp\mysql\lib\plugin\’디렉토리를 읽지 못했습니다.
당황하지 마시고 쓰여 있는 대로 C:\xampp\mysql 폴더에 들어가서 lib\plugin 두 폴더를 만들고 다시 시도하면 됩니다.
-
데이터베이스 내보내기, 가져오기
호스팅 서버의 PhpMyAdmin에 들어가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누른 후 내보내기 메뉴에 들어가세요.
내보내기 방법에 퀵과 커스텀이 있는데 커스텀을 눌러보면 자동으로 모든 테이블이 선택되어있으니 맨 아래 실행을 누르기만 하면 됩니다.
이제 sql 파일이 만들어지고 저장하세요. 이걸 XAMPP의 PhpMyAdmin에 들어가 백업할 데이터베이스를 누른 후 가져오기를 누릅니다.
업로드 파일: 찾아보기 단추를 눌러 sql 파일을 선택하고 아래 실행을 누르면 됩니다.
-
데이터베이스의 사이트 주소 수정
지금 상태에서 localhost로 들어가보면 첫 화면이 똑같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링크를 누르면 원래 사이트로 주소가 바뀔겁니다.
wp_options 테이블에 들어가 siteurl과 home의 값을 http://localhost로 바꿔주면 끝입니다.
만약 XAMPP를 백업 말고도 사용 중이라 C:\xampp\htdocs 안에 wordpress 같은 폴더를 만들어서 백업하고 싶으신 분은 siteurl과 home 값을 http://localhost/wordpress로 하시면 역시 정상작동됩니다.
접속도 localhost/wordpress로 하는 건 당연하겠죠?
XAMPP는 사이트의 고유 주소를 바꿔도 잘 작동합니다.